기사 메일전송
CJ제일제당, 지난해 매출액 30조…전년比 14.4%↑
  • 신현숙
  • 등록 2023-02-13 16:51:00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버핏연구소=신현숙 기자] CJ제일제당(097950)이 지난해 매출액 30조0795억원, 영업이익 16647억원, 당기순이익 8027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이하 K-IFRS 연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4.42%, 9.2% 증가하고 당기순이익은 10.0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5.53%로 전년비 4.56%p 줄었다. 최근 5년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CAGR)은 13%다. 5년 평균 영업이익률은 5%를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7조5711억원, 영업이익은 2406억원, 당기순이익은 763억원으로 전년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 1.7%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62% 줄었다. 

CJ제일제당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CJ제일제당]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조7794억원, 1조2682억원으로 전년비 각각 14.4%, 9.2% 늘었다. 부문별로 식품사업은 매출액 11조1042억원, 영업이익 623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비 각각 16.1%, 12.5% 개선됐다. 비비고 브랜드 중심의 K-푸드 해외 판매 호조 등이 긍정적으로 기여했는데 사상 처음으로 연간 매출액 10조원, 영업이익 6000억원을 넘겼다.

국내 식품 사업은 원가 및 비용 부담으로 영업이익이 다소 줄었지만, 해외사업이 연간 매출액 5조원을 돌파하고 영업이익이 45% 늘어나며 실적을 이끌었다. 미국 등 주요 사업국가에서 만두와 치킨, 가공밥 등 글로벌전략제품(GSP) 매출이 56% 성장한 데 힘입어 식품 글로벌 매출액 비중도 역대 최고 수준인 47%까지 올라갔다. 특히 슈완스는 생산성 개선과 판촉 효율화, 매출 성장에 따른 고정비 절감 등이 주효하며 영업이익이 전년비 52.8% 성장한 2171억원을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매출액이 약 20% 늘어난 미국뿐 아니라 아태∙유럽 및 일본, 중국 등도 호조세를 보였다. 미국의 경우 그로서리 채널 만두 매출액이 66% 늘면서 연간 시장점유율도 40%를 돌파해 1위 지위를 유지했고, 냉동 피자매출도 29% 늘었다. 유럽, 중국 등에서는 대표 제품인 만두 외에도 치킨, 김치 등으로 K-푸드 영향력을 확대했다. 

국내 식품 매출액은 전년비 13.9% 성장한 5조9231억원을 기록했다.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춰 외식 수준의 품질과 가성비를 갖춘 제품을 선보였고, 온라인∙B2B(기업간거래)∙편의점 등 성장 채널의 유통 비중을 확대했다. 아울러 전 가치사슬(V/C)에 걸친 비용 감축 노력으로 전방위적인 비용 및 원가 상승에 대응했다. 

아미노산과 조미소재 등 그린바이오가 주력인 바이오사업부문 매출액은 4조8540억원으로 전년비 30.1% 확대됐다. 영업이익은 원부재료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34.5% 증가한 6367억원을 기록했다. 주력 제품인 아미노산의 경우, 글로벌 경쟁사 대비 우위에 있는 시장지배력을 무기로 성장세를 이어갔고, 중국∙동남아시아∙북미∙남미 등 글로벌 전역의 첨단 호환생산기술 및 입지를 바탕으로 위상을 강화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의 매출액은 2조8212억원으로 전년비 15.3% 증가했다. 반면 물가 상승으로 인한 축산 원가 부담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며 영업이익은 전년비 94.9% 감소한 77억원을 기록했다. 

당분간 글로벌 경제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CJ제일제당은 구매 및 생산역량 강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핵심제품의 국내외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식품에서는 K-푸드 글로벌 영토확장과 수익성 개선에 역량을 집중하고, 식물성 식품(Plant-based), 케어푸드 등 ‘New Wellness’ 분야 신제품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바이오에서는 해양 생분해 소재 PHA와 CJ바이오사이언스 중심의 레드 바이오 사업 등 미래 신수종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지난해 새롭게 출범한 FNT 사업부문을 통해 Wellness 식품소재, 영양(Nutrition), 대체단백, 배양단백 등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관심종목]
097950: CJ제일제당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환율] 엔-달러 152.5000엔 … 0.89%↑ [버핏연구소] 09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엔/달러 환율은 152.5000엔(으)로, 전일비 0.89% 상승세를 보였다.[출...
  2. [환율] 위안-달러 7.1227위안 … 0.02%↑ [버핏연구소] 09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위안/달러 환율은 7.1227위안(으)로, 전일비 0.02% 상승세를 보였다.[...
  3. [버핏 리포트] HD현대일렉트릭, 북미·유럽 수주 급증으로 사상 최대 실적 갱신 – LS LS증권은 24일 HD현대일렉트릭(267260)에 대해 북미시장의 대호조와 유럽시장의 대약진으로 3분기 실적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80만원에서 97만원으로 21% 상향했다. HD현대일렉트릭의 전일 종가는 74만6000원이다.성종화 LS증권 애널리스트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954억원으로 전...
  4. [버핏 리포트] 삼성전자, D램 가격 상승 최대 수혜 ...파운드리도 긍정적 전망 – KB KB증권은 24일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컨벤셔널 D램(동적 랜덤 접근 메모리) 수요 급증에 따른 가격 상승 장기화의 최대 수혜가 예상되며, 테슬라 등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도 중장기 턴어라운드 계기를 마련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3만원을 유지했다. 삼성전자의 전일 종가는 9만6500원이다.김동원 K...
  5. 디모아, 소프트웨어주 저PER 1위... 3.21배 디모아(대표이사 이혁수. 016670)가 10월 소프트웨어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디모아가 10월 소프트웨어주 PER 3.21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아이퀘스트(262840)(6.17), 영림원소프트랩(060850)(7.6), 휴네시온(290270)(8.33)가 뒤를 이었다.디모아는 지난 2분기 매출액 60억원, 영업이익 1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1.69% 증...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