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iM)증권은 5일 셀트리온(068270)에 대해 3분기 매출원가율이 30%대로 떨어져, 합병을 통해 시장이 기대했던 원가율 개선 효과를 증명했다고 분석했다. 신규 제품군의 가파른 성장세에 힘입어 목표주가를 23만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셀트리온의 전일 종가는 17만6300원이다.
정재원 아이엠증권 애널리스트는 "3분기 연결 매출액은 1조290억원(전년동기대비 +16.7%), 영업이익은 3014억원(전년동기대비 +45.1%)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분기 실적발표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분기 최초 매출원가율이 30%대로 떨어진 것”이라며 “영업이익에 영향을 주는 합병 관련 요인이 대부분 해소됐다”고 언급했다.
셀트리온 매출액 비중. [자료=버핏연구소]
이어 “포트폴리오 최적화와 신규 제품군의 매출 성장에 따라 이익 개선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는 기존·신규 제품군에서 제품별 수율 개선(TI) 버전으로 본격 대체되며, 매출 비중에서 고수익성의 신규 제품군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고 있음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짐펜트라(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는 여전히 증명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는 "짐펜트라의 처방량 자체는 늘고 있으나 매출이 제시했던 수치 대비 아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짐펜트라의 시장 점유율은 2%에서 1.2%로 감소했으며, 기존 연간 매출 전망치를 1500억원 수준에서 1000억원 내외로 하향했다.
끝으로 "바이오 업종에 상존하던 불확실성은 대부분 해소된 상황"이라며 "최근 인수한 일라이 릴리의 생산공장을 통해 관세 및 무역 리스크를 해소하고, 인수 직후 위탁생산(CMO) 계약으로 매출 실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제품 개발·생산·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바이오 제약 기업이다. 기존 제품군의 안정적인 매출과 신규 시밀러 제품의 빠른 시장 침투로 이익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며 성장성을 확보하고 있다.
셀트리온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자료=버핏연구소]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